말라리아 경보 발령 배경
올해 처음으로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되었습니다. 이는 국내에서 말라리아 원충을 보유한 모기가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 얼룩날개모기의 원충을 조사한 결과, 지난달 30일부터 31일에 채집된 모기에서 삼일열말라리아 원충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7일자로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되었습니다.
말라리아의 감염 경로
말라리아는 감염된 매개모기에 물려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매개모기에서 원충이 발견되면, 사람에게 감염될 확률이 높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병관리청은 채집된 모기에서 말라리아 원충이 발견되면 전국적으로 경보를 발령합니다.
올해 하루 평균 매개모기 개체수는 6.5마리로, 지난해의 4.4마리보다 증가했습니다. 지난달 30일부터 31일 동안 경기 파주시에서 채집한 102마리의 모기 중 4마리에서 말라리아 원충이 검출되었습니다. 현재 말라리아 감염 군집사례가 발생한 지역은 서울, 인천, 경기, 강원도 내 53개 시군구로, 특히 양천구, 강서구, 연수구, 강화군 등이 포함됩니다.
군집사례란 말라리아 환자 간 증상 발생 간격이 14일 이내이고, 거주지 간 거리가 1㎞ 이내인 상황에서 2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올해는 총 24건의 군집사례가 발생하였으며, 감염된 환자는 63명입니다. 그러나 올해 말라리아 환자는 총 34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50명)보다 16.9% 감소한 상황입니다.
삼일열말라리아 증상
삼일열말라리아에 걸리면 오한, 두통,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후 발열기가 지속되며, 발열 주기는 격일 간격으로 48시간입니다. 공기감염이나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염되지 않으므로, 모기에 물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오한 및 전율: 감염 초기에는 몇 분에서 1~2시간 동안 오한과 전율이 발생합니다.
- 발열: 이후 따뜻하고 건조한 피부와 함께 발열이 시작됩니다. 발열은 일반적으로 3~6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 두통 및 구역질: 감염 초기에는 두통과 구역질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빈맥 및 빈호흡: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빈맥), 호흡이 증가하는(빈호흡)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발한: 발열 후에는 땀을 흘리는 발한기로 이어집니다.
- 발열 주기: 삼일열말라리아의 발열은 격일 간격으로 48시간마다 발생합니다.
예방 및 주의사항
질병관리청은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저녁시간에 야외활동을 피할 것을 권장합니다. 특히, 땀을 흘린 상태에서의 운동이나 물웅덩이 근처에서의 활동은 위험합니다. 말라리아 예방을 위해서는 4월부터 10월까지 야간에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기피제를 사용하고 취침 시 방충망을 사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1. 모기 회피
- 야외 활동 자제: 특히 저녁 시간에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므로 야외 활동을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적절한 복장: 밝은 색의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하여 피부 노출을 최소화합니다.
2. 기피제 사용
- 모기 기피제: DEET, 피카리딘, IR3535 등의 성분이 포함된 기피제를 사용하여 피부에 바릅니다. 특히 노출되는 부위에 충분히 발라야 합니다.
3. 방충망 및 모기장 활용
- 취침 시 방충망 사용: 잠자는 동안 모기장이나 방충망을 사용하여 모기로부터 보호받습니다.
4. 환경 관리
- 모기 서식지 제거: 집 주변의 물웅덩이나 고인 물을 제거하여 모기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없애야 합니다.
5. 여행 시 주의사항
- 위험 지역 정보 확인: 말라리아 발생 지역으로 여행할 계획이라면 사전에 해당 지역의 말라리아 위험 정보를 확인합니다.
- 예방 약물 복용: 말라리아 위험 지역에 가기 전, 의사와 상담하여 예방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증상 인지
- 초기 증상 인지: 말라리아의 초기 증상(오한, 발열, 두통 등)을 인지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합니다.
이러한 예방 조치를 통해 말라리아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항상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위험지역 주민과 여행객에게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된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앞으로도 말라리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한 생활을 유지해야 할 것입니다.
'건강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내시경 전 음식 주의사항, 먹으면 안되는 음식, 먹어도 되는 음식 추천 (0) | 2024.08.13 |
---|---|
여성 질염 증상 가려움 냄새, 약국에서 판매하는 약 치료제 추천 (0) | 2024.08.11 |
여성 성병 클라미디아 증상, 합병증, 검사방법, 치료 방법 (0) | 2024.08.05 |
헤르페스에 대한 이해: 1형 2형 증상, 전염성 및 치료 방법 (0) | 2024.07.31 |
항문 누공 통증 원인, 증상, 치료 방법, 예방법 정리 (0) | 202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