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건강검진, 아직도 못 받으셨나요? 바쁜 일상 속에서 건강검진을 미루기 쉽지만, 건강검진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암과 같은 중증 질환은 조기 발견이 생존율을 크게 높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건강검진은 더욱 중요합니다.
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

1. 지역가입자: 세대주와 20세 이상 세대원 중 홀수 연도 출생자
2. 피부양자: 20세 이상 홀수 연도 출생자
3. 직장가입자: 비사무직 전체, 사무직 홀수 연도 출생자
4. 의료급여 수급자: 20~64세 홀수 연도 수급권자
본인이 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가 맞는지 헷갈린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 건강검진 대상자가 맞는지 조회해보세요!
2024년 건강검진 미수검자라면?
2024년 건강검진 대상이었지만 바쁜 일상 속에서 놓치셨다면, 2025년에도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2024년 미수검자라고 해서 무조건 2025년에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몇 가지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대부분의 경우, 2024년 미수검 건강검진을 2025년에 받을 수 있도록 추가 신청을 받습니다. 하지만, 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반드시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 직장 가입자: 회사의 건강검진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회사 담당자에게 문의하여 미수검 건강검진에 대한 절차를 확인해야 합니다.
2024년 미수검자 2025년 건강검진 신청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 전화 문의: 1577-1000으로 전화하여 "전년도 미수검자 추가신청"을 문의하세요.
- 온라인 신청: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THE건강보험)에 접속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직장 가입자: 회사의 건강검진 담당자에게 문의하여 안내에 따라 신청하세요.
아래 버튼을 눌러 2024년 미수검자 건강검진을 늦기 전에 추가 신청 해보세요!
건강검진 미수검시 과태료 부과 기준

직장인
- 산업안전보건법: 직장인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 건강검진을 받아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사업주가 건강검진을 실시하지 않거나 근로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건강검진을 거부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과태료 규모: 사업주는 최대 1,000만 원 이하, 근로자는 1차 위반 5만 원, 2차 위반 10만 원, 3차 위반 15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 일반 건강검진: 직장인이 아닌 일반 국민의 경우, 건강검진을 받지 않아도 별도의 과태료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해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건강검진은 매우 중요합니다.
2025년 건강검진 일반 검사

일반 건강검진
- 신체계측, 시력·청력 검사, 혈압 측정, 흉부 방사선 촬영,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등
성별 및 연령별 검사
- 여성: 유방암, 자궁경부암 검사 등
- 남성: 전립선 검사 등
- 40세 이상: 위암, 대장암 검사 등
- 만성질환자: 관련 질환 검사 등
2025 건강검진 신청 방법


건강검진 기관 찾기
1) 건강보험공단 지정 검진기관: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THE건강보험)에서 가까운 검진 기관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2) 회사 지정 검진기관: 직장인의 경우 회사에서 지정한 검진기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집 근처 건강검진 기관을 검색하고 싶다면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방문해 검진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건강검진 신청 방법

- 건강보험공단 문의:
- 전화 문의: 1577-1000으로 전화하여 "전년도 미수검자 추가신청"을 문의하세요.
- 온라인 신청: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THE건강보험)에 접속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직장가입자의 경우: 회사의 건강검진 담당자에게 문의하세요.
건강검진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작년에 건강검진을 받지 못하셨더라도,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위에서 알려드린 방법대로 신청하여 건강검진을 받고 건강한 삶을 누리세요!



'건강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공무직 일반건강검진 채용신체검사 차이 무료 대체통보서 출력 방법 (0) | 2025.02.28 |
---|---|
임신중독증 원인 위험요인부터 검사 예방 출산 후 치료 방법 알아보기 (0) | 2025.02.11 |
아기 노로바이러스 잠복기 전염 구토 증상 먹어도 되는 음식 (+장염 차이점) (0) | 2025.01.25 |
고양이가 싫어하는 것, 고양이가 먹으면 안되는 음식, 냄새 알아두기 (0) | 2024.12.01 |
눈에 까만점 생기는 결막모반 원인, 증상, 치료비용, 실비, 제거시 부작용은? (0)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