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분들에게 희소식! 이제부터는 월 납입금에 따라 기업의 지원금과 금리 우대 혜택을 통해 자산을 더욱 쉽게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의 주요 내용과 가입 방법,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란?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금융 상품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장기 재직을 유도하고 근로자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출시일
- 2024년 10월부터 시작
대상
- 중소기업 근로자
저축공제 혜택
우대 금리
참여 기업은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의 협약을 통해 월 10만 원에서 50만 원을 납입하면,
최대 20%의 기업 지원금과 1~2%의 금리를 우대받습니다.
소득세 감면
납입금에 대해 정부에서 소득세와 법인세를 감면해 주기 때문에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
저축공제 가입 및 신청 방법
신청 방법
1. 기업주와의 협의: 먼저, 근로자는 근무 중인 중소기업의 대표와 월 납입금액 및 저축공제 참여에 대해 협의해야 합니다. 기업주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로 결정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필요한 조건이나 기업의 재정 상황 등을 고려합니다.
2. 신청서 제출: 협의가 완료되면, 기업주는 중소기업진흥공단에 저축공제 참여 의사를 통보합니다.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제출합니다.
가입 방법
1. 은행 방문: 기업이 선정한 금융기관(IBK기업은행 또는 하나은행)을 방문합니다. 저축상품에 대한 상담을 받고, 가입 절차를 진행합니다.
2. 저축상품 가입: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저축상품에 가입합니다. 이때, 월 납입금액을 설정하고, 관련 서류를 작성합니다.
필요한 서류로는 신분증, 근로계약서, 기업의 사업자등록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납입금 관리: 정해진 월 납입금을 정기적으로 납부하며, 기업에서 제공하는 지원금과 금리 혜택을 함께 적용받습니다.
유의사항
1. 가입 대상 확인: 반드시 중소기업에 재직 중이어야 하며, 해당 기업이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합니다.
2. 세무 관련 사항: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관련 세무신고를 정확히 해야 합니다.
저축공제 참여 예시
가령 한 근로자가 월 30만 원을 납부하면, 기업 지원금으로 6만 원을 더 받아 총 36만 원이 됩니다. 추가로, 협약은행에서 제공하는 금리가 붙어, 예치금이 늘어날 뿐 아니라 소득세 감면 혜택까지 받습니다.
문의 방법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 공제에 대해 더 궁금하시다면 아래 문의처에 연락해보세요.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정책실 인력정책과(044-204-7796)
- 중소벤처기기업진흥공단 성과보상처(055-751-2971, 2980)
- IBK기업은행 개인고객부(02-6322-5144)
- 하나은행 리테일상품부(02-2002-1298)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근로자에게는 자산 형성의 기회를, 기업에게는 장기적 인재 관리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는 직원과 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분들은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말고,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
'경제 재테크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통장 금리 3%대로 인상 최대 25만원, 가입조건 및 일반주택통장에서 전환하는법 소개 (0) | 2024.09.26 |
---|---|
퇴사 후 임의계속가입자 신청 필수아님! 가족이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일때 비교해 알려드림 (0) | 2024.09.24 |
소상공인 대출 이자 최대 150만원 환급! 3분기 신청기간, 환급 대상 조회, 금액, 조건 알아보기 (0) | 2024.09.24 |
청년 부부 전세대출 버팀목전세자금 지원 대상, 대출 서류, 이자, 금리, 신청방법 (0) | 2024.09.06 |
경남 청년지원사업 모다드림 청년통장 지원자격, 신청기간, 혜택 (0) | 2024.07.15 |